SyntaxHighlighter.all(); '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 :: 게을러지고 싶어 부지런한 개발자

에구.. 제가 이 부분은 스크린 샷을 찍지 못해서 제가 참고해본 사이트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FileZilla라는 F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포할 프로젝트를 war파일로 변환한 뒤, 바로 올리시먄 접속 될 것입니다

https://gdtbgl93.tistory.com/m/99

 

이번포스팅에서는 1. Java 설치 , 그리고 2. 톰캣설치를 진행거예요!

(이미 난 톰캣과 자바 이클립스를 깔고 쓰고 있다~~ 하더라도 우리는 서버에 프로젝트를 올릴 거니까 open JDK과 JRE를 다시 설치할 것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바~로 이어서 진행합니다..! 만약에 터미널 명령 칠 수 있는 연결이 끊겼다면, 

[스프링 프로젝트 AWS에 배포 2탄]에 7번부터 10번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바로 터미널 명령에서부터 진행할게요!

 

< JAVA 설치 (open JRE & JDK 설치) >

 

0. jre 설치  $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re 입력 (중간에 Y/N 나오면 Y 입력하고 나머지 설치가 진행됩니다.)

 

 

1. jdk 설치  $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입력 (중간에 Y/N 나오면 Y 입력하고 나머지 설치가 진행됩니다.)

- 위에서 JRE 설치 진행했던거랑 똑같이 진행되요~

 

 

2. JRE와 JDK 설치 되었으면, java -version 와 javac -version입력하여 버전을 확인 

 

 

 

3. 자바 위치 확인하기

- 풀경로를 확인해보니 /usr/lib/jvm/java-8-openjdk-amd64/bin/javac  이렇게 되있네요

빨간색으로 칠해진 부분까지 java 환경변수($JAVA_HOME)를 설정해볼게요 

 

 

4.  $ sudo nano /etc/profile 을 입력! 그러면 나노편집기 창에 들어갑니다. 

 

 

5. 나노편집기 창에 맨 아래쪽에 export 어쩌구~~~ 로 시작된 저 세 줄을 추가해줍니다. 

(주의: 마지막 줄은 export CLASS_PATH=$JAVA_HOME/lib:$CLASS_PATH 입니다~~!!  오타안나게 주의해주세요

세 줄을 다 입력했으면, ctrl+o를 누른 뒤, Enter 를 누르면 저장이 됩니다.

그런 다음 나노편집기를 빠져나가야 하므로 ctrl + x 

 

 

6. 방금전 입력한 세 줄이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해보기위해 다시 

$sudo nano /etc/profile 를 입력 후, 나노편집기를 확인합니다. 제대로 들어갔다면 ctrl + x를 눌러 다시 빠져나올게요.

 

 

 

7. 그다음 $ source /etc/profile로 reload를 해주고, $ sudo reboot now를 통해 서버를 끕니다. 

에러창이 뜨면 확인 눌러주시면 됩니다. 

 

 

8. 위에서 서버 껏으니 다시 터미널 창을 킨 뒤 $ echo $JAVA_HOME하여, $ $JAVA_HOME/bin/javac - version을 입력하여 자바환경변수를 제대로 설정했는지를 확인합니다. 아래처럼 뜨면 잘 설정이 된거예요

이제 톰캣 설치 해볼게요. 

 

 

< TOMCAT설치 >

9. 톰캣 8 설치  $ sudo apt-get install tomcat 입력 (중간에 Y/N 나오면 Y 입력하고 나머지 설치가 진행됩니다.)

 

 

10. 톰캣 버젓을 확인해볼게요 .. $ sudo /usr/share/tomcat8/bin/version.sh 입력!

 

 

11. 포트 8080설정을 위해 $ sudo ufw allow 8080/tcp 입력! 

아래처럼 Rules updates가 뜨면, 이제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게 된거예요

 

 

12. 톰캣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 sudo service tomcat8 start 입력! 

 

13. 이제 한 번 성공적으로 톰캣이 시작되었는지 확인해봐야하므로, aws 계정에서 자신이 생성한 인스턴스 설명을 보면, 자신의 ip주소이 있습니다. 이를 복사 한 뒤

자신의 ip:8080으로 접속해봅니다! 아래처럼 뜨면 성공!! (윈도우에서 톰캣설치 후 화면 띄워보면 고양이 그림이 나오지만, 리눅스 기반에서 우분트로 저는 했지때문에 아래와 같은 창이 대신 뜨네요!! ) 

 

요기까지 화면이 뜨면 톰캣도 제대로 설치되서 웹서비스를 하기위한 준비가 모두 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지난번 포스팅 1탄에는 AWS에 계정을 하나 생성하고, EC2에 인스턴스(서버) 생성, 그리고 IP를 생성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uTTy를 설치하고, 지난 포스팅에서 제가 생성한 인스턴스 서버에다가 puTTy를 이용하여 SSH 프로토콜로 접속을  해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

 

0. 푸티(puTTy) 설치 (푸티를 설치하면 puTTygen도 함께 설치가 됩니다.) 

여기로 가셔서 푸티를 설치해주세요~~ 

https://putty.ko.softonic.com/

 

1.  puTTygen을 실행시키면 아래처럼 뜹니다. Load 클릭 

 

2. Load 클릭 후 지반 포스팅에서 다운받아 놓은 awsDevProject.pem을 클릭 !!

(안 보이시는 분들은 하단 쪽에 All Files(*.*)로 변경하면 보입니다. 

 

3. 그다음 이런 창이 뜨는데 확인 클릭 

 

4. 예 클릭

 

5. 가상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private key를 하나 생성해야해요. 그 key 이름을 전 awsDevProejctKey로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 저장 클릭!

 

6. 이제 확장자가 ppk인 private key가 생성되었어요 

 

7. IP 번호를 이제 알아놔야 하거든요.. 그러니 본인 aws 계정에 들어가서 왼쪽 사이드에 EC2대시보드를 클릭하면

아래 IP를 알 수 있어요. 이걸 복사합니다. 

 

8. 6번까지는 puTTygen 실행시켜서 진행했었는데, 이제 puTTy를 실행시켜주세요.

아래의 창이 뜨면 ubuntu@복사한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Saved Sessions에 awsDevProject라고 입력했구요. Save 버튼을 클릭하면 save버튼 옆에 awsDevProject가 생겨요! 

 

9. 이어서 SSH 클릭 > Auth클릭 > Browse 클릭

 

10. 좀전에 6번에서 만든 private key를 선택하고  Open 클릭! 

 

11. 아래 터미널 창이 뜹니다.!! 바로 puTTy를 이용해서 지난번 포스팅에서 만든 인스턴스 서버에

SSH 프로토콜로 접속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터미널 창에 ls -l 과  ls -al 을 입력하시면 무엇이 들어가있는지 볼 수 있어요

 

12. 마지막으로 위 터미널 창에다가 아래 두 줄을 하나 씩 차례로 입력해주세요! 

(최신버전으로 맞추는 거예요!)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여기까지 puTTy를 이용한 인스턴스 외부접속을 해보았습니다. 

다음 3탄에서 뵐게요~

 

안녕하세요! 포트폴리오용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하나 저는 만들었구요. 그걸 서버에 배포하기 위해 AWS를 통해 올리는 방법을 이제부터 단계별로 보여드리도록 할게요. 

추후 저 역시 또다시 서버에 배포할 시 헤매지 않도록 기억하기 위해 단계별로 스크린 샷을 통해 그 과정을 공개하겠습니다. 

우선 aws.amazon.com.ko에 들어가셔서 계정을 하나 만들어주세요! 계정만드는 과정은 생략 할게요.

 

계정을 다 만드셨으면 이제부터 서버에 올리기위한 과정을 하나씩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작성할 내용은 ....

    - EC2에 가상의 컴퓨터(서버)를 만들기  (즉 인스턴스 생성)

    - IP(고정)를 생성하여 1번에서 만든 컴퓨터(서버)와 연결   ) 

========================================================

EC2에 가상의 컴퓨터(서버) 만들기 (즉, 인스턴스 생성) 

0. 서비스 클릭 -> EC2 클릭 

 

1. 계정 만든 분은 아래처럼 실행중인 인스턴스가 없다고 나와요.

인스턴스를 만든다는 것은 즉, 아마존에 가상의 컴퓨터(서버)를 만든다는 의미로 보시면 돼요!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해주세요! 

 

2. 상단 네비바를 보면 1.AMI선택부터 7.검토까지 있는데 인스턴스(가상의 서버)를 만들기 위한 단계입니다.

무료를 써야 하니 Ubuntu Servcer를 선택! 

 

3. 무료유형 딱 한 개 있구요. 이미 디폴트로 선택되어있어요. 그냥 다음 클릭해주세요

 

4. 아마존에서 제공한느 기본설정 그대로 두고 '다음:인스턴스세부정보구성' 클릭! 

 

5. 서버의 하드웨어 용량을 얼마만큼 할건지 설정해주는 부분이구요. 디폴트로 8이 설정되어있었지만, 프리티어 사용가능 고객은 아래에서 나와있듯이 30까지 되어있어요. 따라서 크기를 30 으로 해줍시다! 무료니까 넉넉하게 쓰면되겠죠

6. 다음 클릭

7. 규칙추가를 눌러서 아래 세개를 추가해줍시다. 전 mysql 사용하므로, 마지막 유형에는 MYSQL이 들어가있어요.

(소스속성에 0.0.0.0/0 이라고 되어있는 건 어느 곳에서나 접속가능하다는 뜻입니다!) 

8. 단계7에는 아래와 같이 포트는 이러이렇게 설정된다~~라고 알려줍니다. 바로 시작하기 버튼 클릭! 

9. 새 키 페어생성을 해주어야 해요. 두 번째 칸에 키 페어 이름을 임의로 써 주시구요.

키 페어 다운로드를 클릭해주면 하단에 awsDevproject.pem이라는 키가 다운로드 됩니다. 

(이 키는 가상의 컴퓨터(서버)로 들어가기 위한 키이므로 아주아주 중요해요!)

 

10. 중요한 키를 잃어버리면 안되겠죠.. 그래서 저는 C: 드라이브 밑에 키 페어 이름과 동일한 폴더를 하나 만들었고, 그 안에 다운받은 키페어를 넣어주었습니다. 

 

11. 폴터에다가 키를 잘 넣어주셨다면 이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12. 이제 EC2에 인스턴스를 하나 생성했습니다 ^_^ 

 

13. 왼쪽 사이드바에서 인스턴스 클릭하면 방금전 만든 가상컴퓨터인 인스턴스가 보일 거예요!! 방금 만들어서 상태검사에는 초기화...라고 나오지만 1~2분 뒤면 2/2개 검사 라고 바뀝니다~~ 인스턴스 생성 완료!! 

 

IP(고정) 생성, 방금 전 만든 서버에 연결 

 

14. 왼쪽 사이드바에 탄력적 IP를 찾아 클릭한 뒤, 탄력적 IP주소 할당 클릭 

 

15. 할당 클릭 

 

16. 할당 버튼을 클릭하고 나면 아래처럼 IP주소가 할당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결된 인스턴스 쪽에 아무것도 없는데, 아직 이 ip에 연결된 인스턴스가 없다는 의미예요. 

둘을 연결시켜주기 위해 작업버튼 클릭 >  탄력적 IP주소 연결 을 눌러줍니다.

(릴리스 버튼은 해제/삭제한다는 의미래요) 

 

17. 인스턴스 선택을 누르시면, 제가 아까 만든 인스턴스가 하나 보입니다. 이걸 선택해주고 연결 클릭! 

 

18. 아까는 연결된 인스턴스가 없었는데, 이제는 인스턴스가 하나 연결된게 보이네요

 

 

19. 마지막으로 왼쪽 사이드바에 EC2대시보드를 클릭 하면 실행중인 인스턴스가 이제 1개 나오고,

키 페어와 IP로 1개씩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여기까지 EC2 인스턴스 생성과 IP를 생성했구요 

 

2탄에서 또 뵙겠습니다~~ 

 

 

 

 

+ Recent posts